42Seoul/NetPratcice

level7

재윤 2023. 9. 12. 17:02
반응형

  • R11, A1, R12, R21를 255.255.255.240 마스크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따로 사용할 것임
  • R22, C1은 255.255.255.255.0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구성

R11, A1, R12, R21

  1. 마스크를 전부 255.255.255.240넣는다
  2. R11의 IP를 보면 116.198.14.1임
    1. 116.198.14.1랑 마스크 255.255.255.240 == And 연산 → 116.198.14.0(네트워크 주소)
    2. 호스트 주소 범위 → 11110000(240) == 2^4 -2 = 14
    3. 116.198.14.1 ~ 116.198.14.15에 있는 주소를 A1 IP주소 안에 넣어줌
  3. R12의 IP를 보면 116.198.14.254임
    1. 116.198.14.254랑 마스크 255.255.255.240 == And 연산 → 116.198.14.240(네트워크 주소)
    2. 호스트 주소 범위 → 11110000(240) == 2^4 -2 = 14
    3. 116.198.14.240 ~ 116.198.14.254에 있는 주소를 A1 IP주소 안에 넣어줌
  4. R1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라우터를 가리키는 곳은 R21의 IP주소를 넣어준다. 목적지 대역 IP에는 default로 해준다 왜? → 한 방향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
  5. R2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라우터를 가리키는 곳은 R12의 IP주소를 넣어준다. 목적지 대역 IP에는 default로 해준다 왜? → 한 방향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

R22, C1

  1. 마스크를 전부 255.255.255.0넣는다
  2. R22에 아무 IP(1~224)를 넣는다 → 161.1.1.1로 나는 했다.(위의 네트워크랑 겹치지 않게 해야함)
  3. 161.1.1.1랑 마스크 255.255.255.0 == And 연산 → 161.1.1.0(네트워크 주소)
  4. 호스트 주소 범위 →00000000(0) == 2^8 -2 = 254
  5. C1 안에 161.1.1.1 ~ 161.1.1.254에 있는 주소를 A1 IP주소 안에 넣어줌
  6. C안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를 가리키는 곳은 R22의 IP주소를 넣어준다. 목적지 대역 IP에는 default로 해준다 왜? → 한 방향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

반응형

'42Seoul > NetPratc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vel9  (0) 2023.09.12
level8  (0) 2023.09.12
level6  (1) 2023.09.11
level5  (0) 2023.09.11
level4  (1)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