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기 위해 미리 색인(Index)를 만들어 놓고 거기서 생각하는 시스템
- 그냥 데이터를 다 읽으면서 찾는 게 아니라
- 미리 목차, 색인표 만들어두고 색인표에서 빠르게 위치 찾아서 검색하는 원리
예를 들어 네이버, 구글, 유튜브, 쇼핑몰, 쿠팡, 인스타그램
→ 검색창에 키워드 입력 → 바로 검색 결과 뜸 이게 검색 엔진 덕분임
수박맨 ~ 수십억 건의 데이터를 1초안에 검색 결과 반환
이게 왜 필요하냐면
- 일반 DB로 검색하면 느림 데이터가 많아지면 모든 데이터를 다 읽어야해서 시간 오래 걸림
- 미리 색인을 만들어서 검색
검색 엔진의 핵심 색인(Index)
- 책 → 페이지별 목차
- 사전 → 단어별 색인
검색 엔진이 하는 일
- 크롤링 (데이터 수집) → DB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 색인(indexing) → 단어/문서/필드별 색인화
- 검색(query) → 색인표에서 키워드/조건 매칭
- 정렬(sort) → 최신순, 인기순, relevance
- 필터링(filter) → 작성자, 카테고리, 기간 조건
- 집계(aggregation) → 갯수 세기, TOP10, 평균값 등
[검색엔진] 검색 시스템 이해하기 1 - 엘라스틱서치 중심으로
작성일 : 2024-10-18레퍼런스 : 엘라스틱서치 실무 가이드1.1 검색 시스템의 이해1.1.1 검색 시스템이란?네이버, 구글 등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
maxo.tistory.com
반응형
'Kkrap > 개발하면서 공부하게 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JWT 로그인 요청 검증 방법 (3) | 2025.08.08 |
---|---|
[Spring boot] JWT 관리 코드 분석 (2) | 2025.08.08 |
JWT란? (5) | 2025.08.03 |
커서 기반 페이지네이션이란? (1) | 2025.07.30 |
ElasticSearch란? (2)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