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I(Continuous Intergration, 지속적 통합)
→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자주(하루에도 여러 번)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고, 자동 빌드/테스트를 거쳐 코드 충돌, 버그를 빠르게 발견하는 과정
- CD(Continuous Dlivery/Deployment, 지속적 제공/배포)
→ CI에서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스테이징 환경 → 운영 환경에 배포하는 과정
- Continuous Delivery: 자동 배포 준비까지 하고 실제 배포는 사람이 승인
- Continuous Deployment: 운영까지 완전 자동 배포
왜 이게 필요한가?
- 빠른 피드백 → 코드 푸시하였을 때 버그나 성능 이슈를 즉시 확인
- 배포 속도 향상 → 사람이 수작업으로 할 때는 실수가 잦지만 CI/CD는 코드 merge만 해도 자동으로 빌드 및 배포 운영 흐름 빨라짐
- 협업 효율성 →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해도, CI가 알아서 코드 충돌/테스트 실패를 알려줌
- 안정적인 운영 → 롤백 자동화, 블루 - 그린/카나리 배포 같은 전략
반응형
'Kkrap > 개발하면서 공부하게 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JWT Accesstoken 및 Refresh 검사 흐름? (3) | 2025.08.08 |
---|---|
[Spring boot] JWT 로그인 요청 검증 방법 (3) | 2025.08.08 |
[Spring boot] JWT 관리 코드 분석 (2) | 2025.08.08 |
JWT란? (5) | 2025.08.03 |
커서 기반 페이지네이션이란? (1)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