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Seoul/NetPratcice

level4

재윤 2023. 9. 11. 17:34
반응형

  1. R1은 스위치의 게이트웨이이다.

💡 게이트웨이란?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Gateway)**란 한 네트워크(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입니다. • 게이트웨이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두 사람 사이에 통역사나 번역기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와 논문, 외국 원서 사이를 중재해주는 구글 번역기와 게이트웨이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B1, A1, R1

  • 클라이언트 → B1
    • IP주소가 R2와 R3의 호스트 주소를 벗어나게 만들어야한다.
    • 네트워크 주소는 같아야한다.
  • 스위치를 통해 이 3개가 같은 인터넷을 사용하기에 Mask는 같은 것으로 해주어야한다.
    • 라우터에서 각각의 인터넷이기 때문에 Mask가 다름.

클라이언트 == B1

R2 범위

  • 서브넷 : 10000000(128)
  • IP : 00000001(1)

→ 네트워크 주소 == 103.7.110.0

→ 호스트 주소 == 2^7 - 2 == 126(0000 0000 ~ 01111111)

R3 범위

  • 서브넷 : 11000000(192)
  • IP : 11110100(244)

→ 네트워크 주소 == 103.7.110.192

→ 호스트 주소 == 2^6 - 2 == 62(1100 0000 ~ 1111 1110)

B1의 IP주소는 0~127이 아니고 192~255까지 아니면 됨.


스위치(게이트웨이) == R1

  • 게이트웨이의 IP는 라우터에서 서로 같지만 않으면 됨. 이게 그냥 인터넷을 꼽는다고 했을 때 자신의 이름 같은 거라서 같지만 않으면 됨. 난중에 신호 같은 걸 보낼 때 이 이름을 쓰게 됨.
  • Mask는 뒤에 클라이언트 친구들이랑 같게 해주면 됨.

-jaeyojun-

반응형

'42Seoul > NetPratc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vel6  (1) 2023.09.11
level5  (0) 2023.09.11
level3  (0) 2023.09.11
Level2  (0) 2023.09.11
Level1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