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Seoul/NetPratcice

level9

재윤 2023. 9. 12. 17:08
반응형

  • 첫 번째로 클라이언트 A,B,R11를 구하고 인터넷 설정
  • 클라이언트 C,D 설정
  • R13과 R21설정

첫 번째로 클라이언트 A,B,R11를 구하고 인터넷 설정(A,B,R11)

  1. R11의 마스크를 보면 …128이다 이것을 B1, A1에 다 넣어준다.
  2. 각각의 IP주소를 계산해서 넣어주면 된다. 나는 101.0.0.0로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하겠다 (마스크가 128이니 호스트 범위는 0 ~ 127까지 되겠다)
  3. B와 A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게이트웨이인 R11로 가야하니 R11의 IP주소를 넣어준다.
  4. B와 A는 한 방향이라 목적지 대역 IP가 디폴트 해도 괜찮타.

  1. 위에서 맞춘 101.0.0.0 네트워크를 설정해준다.

클라이언트 C,D 설정

  1. R23을 마스크를 보면 /18로 되어있다 D1도 여기에 맞게 해준다.
  2. D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고정 IP가 보인다 그것을 R23에 넣어준다.
  3. D1의 IP에는 R23이 속한 IP주소값을 넣어주면 된다.
  4. R22와 C1의 마스크는 /24로 진행을 한다. IP는 자기가 계산해서 포함되는 범위 넣어주면 된다.

R13과 R21설정(라우팅 테이블)

R1의 라우팅 테이블

  1. 문제를 보면 클라이언트 A(meson)와 클라이언트 D(gluon)이 통신하려고 한다. 그래서 R1의 라우팅 테이블인 목적지 대역 IP에 클라이언트 D의 IP주소를 넣어준다.
  2. 문제를 보면 클라이언트 B(ion)와 클라이언트 C(cation)이 통신하려고 한다. 그래서 R1의 라우팅 테이블인 목적지 대역 IP에 클라이언트 C의 IP주소를 넣어준다.
  3. R1라우팅 테이블에서 라우터 쪽으로 가야하는 방향을 맞춰주기 위해 R21의 고정 마스크인 것을 R13에 넣어준 후 거기에 맞는 IP를 넣어준다.
  4. R1라우팅 테이블에서 라우터 쪽으로 가야하는 방향은 R2의 라우터이다 그래서 R21의 IP주소를 넣어준다.

5. 마지막에 cation이 인터넷을 받으려고 한다. 그래서 인터넷의 목적지 대역 IP를 클라이언트 C로 바꾼다.

 

전체

반응형

'42Seoul > NetPratc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vel10  (0) 2023.09.12
level8  (0) 2023.09.12
level7  (0) 2023.09.12
level6  (1) 2023.09.11
level5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