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Seoul/so_long

so_long MiniLibx 간단 소개

재윤 2023. 7. 27. 17:18
반응형

영상

42 인트라에 있는 Minilbx 소개

  • 학생들을 위한 간단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간단 소개

작동 방식

#include <mlx.h>

void *
mix_int (); //mac에서 이렇게 쓴다고 함 

이벤트
컴파일

man 이용하여 보기

man /usr/share/man/man3/mlx.1

번역

 

Google 번역

NAME MiniLibX - Simple Graphical Interface Library for students SYNOPSYS #include void * mlx_init (); DESCRIPTION MiniLibX is an easy way to create graphical software, without any X- Window/Cocoa programming knowledge. It provides simple window creation, a

translate.google.com

 

MiniLibX란?

→ 42에서 Unix/Linux 기반의 X-Window/X11이나 MacOS 기반의 AppKit 관련 지식 없이도 쉽게 graphical software를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 쬐끄만 그래픽 라이브러리로서 , cocoa나 x-window에 대한 지식 없이도 스크린에 기본적인 무언가를 렌더링할 수 있게 도와줌.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것

  • window(창) creation
  • 드로잉(drawing) 툴

이상하고 좀 부족한 이미지 기능과 이벤트 관리 시스템

x-window란?

→ x-window는 unix를 위한 네트워크 지향적인 그래픽 시스템이다. 원격 데스크톱에 연결하는 데에 쓰이는 것을 하나의 예로 생각할 수 있음. TeamViewer가 이것을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프로그램.

  • unix와 linux 차이점→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즐겨 사용되는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시분할 운영 체제이다. 1970년대 초반 벨 연구소 직원인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등이 처음 개발하였다. 오늘날의 유닉스 시스템은 여러 회사들과 비영리 단체들이 이 커널로 활용하여 다양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닉스는 처음부터 다양한 시스템 사이에서 서로 이식할 수 있고, 멀티 태스킹과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 일반 텍스트 파일, 명령행 인터프리터, 계층적인 파일 시스템, 장치 및 특정한 형식의 프로세스 간 통신을 파일로 취급 등.
    • 소프트웨어 공학 측면에서, 유닉스는 C의 사용과 유닉스 철학이라는 부분이 특징임.
    Linux‘리눅스’ 라는 용어는 리눅스 커널만을 뜻하지만, 리눅스 커널과 GNU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와 도구들이 포함된, 전체 운영체제(GNU/리눅스 라고도 알려진)를 나타내는 말로 흔히 쓰인다. 리눅스 배포판은 핵심 시트템 외에 대다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현재 200여 종류가 넘는 배포판이 존재.
    • 리눅스, 유닉스 모두 OS임
    • 유닉스
      • 서버에 특화된 운영체제
      • 서버에 특화된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포털이나 대기업의 서버에 사용되며 보안성이 매우 뛰어남.
      • 대표적인 유닉스 : Oracle Solaris
    • 리눅스
      • 유닉스에서 파생된 운영체제
      • 리눅스 운영체제 소스코드를 무료로 배포했다는 점.
      • 대표적인 리눅스 : Ubuntu, RedHat
  • 쉽게 정리
  • →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다. 혹은 커널을 뜻하기도 한다. 리눅스는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개발의 가장 유명한 표본으로 들 수 있다.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멀티태스킹),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NOS)이다.
  • 유닉스 시스템의 개념
  • Unix

말이 너무 어려운데 쉽게 말하자면

  • X 윈도우 또는 X 윈도 시스템(X11, X라고 알려져 있음)은 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윈도 시스템 및 X 윈도우 GUI 환경.
  • X 윈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창을 표시하며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의 상호작용등을 관리해 GUI 환경의 구현을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

MacOS란?

→ MacOS는 화면에 대한 그래픽적인 접근을 관리함. 그런데 여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application을 깔려있는 graphical 프레임워크에 등록해야함.

 

 

다른 블로그

X 윈도 시스템

 

X 윈도 시스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X11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X11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wm 창 관리자가 실행되어 있는 X 서버의 모습 X11와 KDE 창 관리자를 이용한 현

ko.wikipedia.org

 

반응형

'42Seoul > so_lo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_long Makefile  (0) 2023.07.27
DFS  (0) 2023.07.27
so_long 구현하기 앞서 전체 틀  (0) 2023.07.27
so_long MiniLIbx 작동해보기  (1) 2023.07.27
so_long MiniLibx 함수  (0) 2023.07.27